본문 바로가기

자연과학18

안드로메다 은하의 기본 정보, 특징과 우리 은하와의 충돌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에서부터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로 M31로 부르기도 하는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메이저급 은하에 속합니다. 안드로메다 은하에 대한 기본 정보, 특징 및 우리 은하와의 충돌에 대한 추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기본 정보 안드로메다 은하는 가을 밤하늘 페가수스 별자리의 사각형의 북동쪽 카시오페아자리 방향에 위치해 있습니다. 페가수스의 사각형 북동쪽 꼭짓점에 있는 별인 알페라츠의 북동쪽에는 미라흐라는 2등성이 있는데 이 별의 북서쪽 근처에 안드로메다가 있습니다. 밤하늘이 별을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어둡다면 카시오페아자리와 페가수스자리의 사각형 사이에서 육안으로 뿌옇게 조각구름 형태처럼 보이는 천체가 있는데 이것이 안드로메다 은하입니다. 은하의 명칭은.. 2023. 10. 7.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개발 배경, 특징 및 핵심 목표 2021년 우주로 발사된 현존하는 최강의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의 개발 배경과 발사 과정 및 주요 임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개발 배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NASA, ESA, 캐나다 우주국이 개발한 허블 우주 망원경과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뒤를 잇는 것으로 주황색의 가시광선에서부터 근적외선 및 적외선 영역의 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주 망원경은 지구 대기권 바깥 우주 공간에 쏘아 올려져 천문학 관측을 수행하는데, 이는 천체로부터 오는 빛 중 가시광선과 전파 영역을 제외한 다른 파장의 빛이 모두 대기에서 차단 또는 흡수되어 관측할 수 없거나 원래보다 상이 커지고 덜 선명한 단점을 극복하는데 효.. 2023. 9. 29.
베텔게우스 개요 및 초신성 폭발 과정의 추측, 지구에 미치는 영향 요즘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별 하나가 등장했습니다. 바로 오리온자리의 알파별 베텔게우스입니다. 이 베텔게우스가 조만간 폭발할 것이라는 이슈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베텔게우스의 개요 및 초신성 폭발과정에 대한 추측 및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베텔게우스 개요 베텔게우스는 적색 초거성으로 오리온 띠와 근접해 있고 오렌지 색, 붉은색으로 밝게 빛나기 때문에 맨 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는 별입니다. 북반구에서는 매년 1월부터 해가 진 후 동쪽에서 베텔게우스가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고, 남위 82도 이하 남극 대륙의 몇몇 관측기지에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3월 중순까지 사람이 사는 모든 지역에서 이 별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5월에 베텔게우스는 해가 진 후 서쪽 지평선에 잠깐 .. 2023. 9. 28.
지구 대멸종의 개요, 기준, 대표 5대 대멸종 대멸종 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유물만은 아닙니다. 그 현상은 인류를 위한 귀중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화산 폭발, 소행성 충돌과 같은 자연재해의 파괴적인 결과부터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지속적인 도전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사건은 지구 생명체의 취약성과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며 지구와 지구에 사는 모든 인류를 보호해야 하는 책임을 일깨워 주는 경고의 역할을 합니다. 지금부터 지구 대멸종의 개요와 기준, 대표 5대 대멸종과 우리의 자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구 대멸종의 개요 지구 대멸종의 개요는 지구 역사 중에 있었던 대규모의 멸종사건, 대량멸종이라고 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한 생물권의 생물종 75% 이상이 멸종할 경우를 대멸종이라 정의합니다. 보통 자연환경의 극적인 변화나 운석 충돌 등 전지구적 재난이 원인.. 2023.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