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생활_회계 행정 나 혼자 다 한다10

퇴직연금제도 간 비교 및 회계처리, 원천징수 관련 업무 퇴직연금제도에 대해 대략적인 사항만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퇴직연금제도의 비교 및 분개 관련 회계처리 및 퇴직급여 발생 시 원천징수 관련 업무에 대한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연금제도 비교 구 분 확정급여형 (DB) 확정기여형 (DC)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IRP) 개념 퇴직 시 지급할 급여수준 및 내용을 노사가 사정에 확정하고, 근로자가 퇴직 시 사용자는 사전에 약정된 퇴직급여 지급 기업이 부담할 부담금 수준을 노사가 사전에 확정하고, 근로자 퇴직시 적립금 운용 결과에 따라 퇴직급여를 수령 10인 미만 기업이 근로자 개별 동의 얻어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IRP) 설정한 경우 퇴직연금제도 설정으로 간주 DC형과 동일하게 운영 기업부담금 적립금 운용결과에 따라 기업의 부담금 변동 (운용 수.. 2023. 12. 4.
사업장 퇴직연금 관련 일반내용 퇴직연금이란 매월 일정액의 퇴직적립금을 외부의 금융기관에 위탁하여 관리 및 운용하여 근로자의 퇴직 시 연금이 형태로 받게 되는 제도입니다. 기업이 도산하더라도 근로자의 퇴직급여가 보장될 수 있도록 2005년 12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시행과 함께 퇴직연금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퇴직연금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이후부터 모든 사업장이 퇴직연금 가입의무가 적용되지만, 퇴직연금 미가입에 따른 과태료 및 벌칙 규정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미가입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 퇴사 시 법정퇴직금으로 산정하여 지급해도 무관하다는 결론입니다. 퇴직연금규약 퇴직연금규약은 개별 사업장의 퇴직연금제도의 설계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법정 기재 사항 등을 포함하여 노사가 자율적으로 작성해야 합.. 2023. 11. 24.
산재 보험급여의 종류 및 요양급여청구, 휴업급여청구, 대체지급청구 산재사고 발생 후 재해근로자가 치료 중인 병원에서 산재 접수를 하게 되면 공단에서는 회사로 산재요양급여신청 사실통지 및 자료제출 요청 메일을 발송합니다. 사업장은 산재 인정 유무를 작성하게 되고 기타 자료(경위서, 증빙자료, 급여대장, 근로계약서 등)를 제출을 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공단에서는 산재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산재업무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산재 보험급여의 종류 및 근로자 또는 사업장에서 제출해야 할 일부 서류(요양급여청구, 휴업급여청구, 대체지급청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재 보험급여의 종류 종류 상세 내용 요양급여 치료와 관련된 비용 (진료비, 간병료, 이송료, 보조기 등 재해근로자가 직접 낸 치료비용 등) 휴업급여 요양기간 중 일하지 못한 기간 동안 하루 평균임금의 70% 에 해당하.. 2023. 11. 16.
산재 보상 절차, 업무상 재해 판정 절차, 산재 장해 판정 절차 산업재해 즉 산재는 업무상의 사유에 따라 4일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을 의미합니다. 산재 발생 시 진행되는 보상, 재해 판정, 장해 판정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를 통해 우선 큰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산재보험 보상 절차 구분 산재신청 보상 (보험급여 지급) 치료중 ∙ 요양 - 기간연장, 병원변경, 상병추가 ∙ 치료에 따른 병원비 ∙ 휴업급여 ∙ 간병료, 이송료 ∙ 사업주에게 대체인력 지원급 지급 ∙ 재활에 필요한 비용 지원 치료 종결 ∙ 악화시 재요양 신청 ∙ 직업복귀 지원 ∙ 장해에 대한 보상금 ∙ 간병급여 ∙ 사업주에게 직장복귀 지원금 지급 ∙ 직업훈련비용 및 훈련수당 지원 업무상 재해 판정 절차 1. 업무상 사고 및 질병 발생 - 의료기관 검사, 진단 , 치료 2.. 2023. 11. 13.